
청소노동자의 하루
5:30
학교 출근
9:00
휴식시간
8시간의 노동
2시간 휴식 후 귀가
백주년기념관 청소 노동자 A씨는 공식적인 출근 시간보다
30분 이른 5시 30분에 학교에 도착한다. 정시에 출근하면 시간 안에
아침 업무를 끝낼 수 없기 때문이다. 아직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아 에어컨은 나오지 않는다. 업무를 마치고 나면 목에 두르고 있던 수건이 흠뻑 젖는다. 샤워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지만, 마땅히 샤워할 곳은 없다.
9시부터 한 시간 주어지는 휴식 시간, 좁은 휴게실에서 지친 몸을 달랜다.
이후 화장실 관리와 계단 청소가 시작된다.
하루에 한 번은 담당 화장실 변기가 막혀 물이 넘친다.
몸에 밴 화장실 냄새는 잘 빠지지 않는다. 또 한 번의 고된 노동이 끝난 후
그는 다시 휴게공간으로 향한다. 이제 휴게실은 식당이 된다.
건물 사용자의 민원으로 냄새나는 반찬은 먹지 못한다.
열악하고 초라하지만, 휴게실은 지친 노동자가 쉬고
밥을 먹을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다.
8시간의 노동과 2시간의 휴식이 끝난 후 A씨는 집으로 향한다.
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

본교 청소노동자
268명 설문조사
45.8%
휴게공간의 개선
38.4%
임금인상
“청소 노동자 휴게 공간이 교직원과 학생의 휴게공간과 동일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”
“노동자들이 휴게공간에서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”
서울총학 인권연대국(국장=김수민)은 8월 17일부터
본교 64개 건물에 근무하는 청소노동자 268명을 설문조사했다.
자료에 따르면 노동자 45.8%가 ‘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’으로
휴게공간을 뽑았다. 임금 인상은 38.4%로 뒤를 이었다.
이종선 노동문제연구소 부소장은
“청소 노동자 휴게 공간이 교직원과 학생의 휴게공간과
동일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”며
“노동자들이 휴게공간에서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”고 말했다.
청소노동자들의 휴게공간에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들여다보았다.